반응형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9

장끼전 전문 장끼전 하늘과 땅이 비로소 열릴 때 만물이 번성하니, 그 가운데 귀한 것은 인생이며 천한 것은 짐승이었다. 날짐승도 삼백이고 길짐승도 삼백인데 꿩의 모습을 볼라치면 의관은 오색이오 별호는 화충이다. 산새와 들짐승의 천성으로 사람을 멀리하여 푸른 숲속 시냇가에 휘두러진 소나무를 정자 삼고, 상하로 펼쳐진 밭과 들 가운데 널려 있는 곡식을 주워 먹고 살아간다. 그러나 임자 없이 생긴 몸이라 관포수(官砲手)와 사냥개에게 툭하면 잡혀가서 삼태육경 수령방백 새와 들짐승과 다방골 제갈동지들이 싫도록 장복(長服)하고 좋은 깃 골라내서 사령기(使令旗)에 살대 장식과 전방 먼지털이며 여러 가지에 두루 쓰여지니 그 공적이 적다 하겠는가? 평생을 두고 숨어 있는 자취와 좋은 경치를 보고자 하여, 구름 위로 우뚝 솟아오른 높.. 2020. 9. 24.
강경애 '지하촌' 전문 지 하 촌 강 경 애 해는 서산 위에서 이글이글 타고 있다. 칠성이는 오늘도 동냥자루를 비스듬히 어깨에 메고 비틀비틀 이 동리 앞을 지났다 . 밑 뚫어진 밀짚모자를 연신 내려쓰나, 이마는 따갑고 땀방울이 흐르고 먼지가 연기같이 끼어, 그의 코 밑이 매워 견딜 수 없다. “이애 또 온다. ” “어 아.” 동리서 놀던 애들은 소리를 지르며 달려온다. 칠성이는 조놈의 자식들 또 만나는구나 하면서 속히 걸었으나, 벌써 애들은 그의 옷자락을 툭툭 잡아당겼다. “이애 울어라 울어.” 한 놈이 칠성이 앞을 막아서고 그 큰 입을 헤벌리고 웃는다. 여러 애들은 죽 돌아섰다. “이애 이애, 네 나이 얼마?” “거게 뭐 얻어 오니? 보자꾸나.” 한 놈이 동냥자루를 툭 잡아채니, 애들은 손뼉을 치며 좋아한다. 칠성이는 우뚝 .. 2020. 9. 24.
이인직 '혈(血)의 누(淚)' 전문 소설듣기 이인직 - 이인직 일청전쟁(日淸戰爭)의 총소리는 평양 일경이 떠나가는 듯하더니, 그 총소리가 그치매 사람의 자취는 끊어지고 산과 들에 비린 티끌뿐이라. 평양성의 모란봉에 떨어지는 저녁 볕은 뉘엿뉘엿 넘어가는데, 저 햇빛을 붙들어매고 싶은 마음에 붙들어매지는 못하고 숨이 턱에 닿은 듯이 갈팡질팡하는 한 부인이 나이 삼십이 될락말락하고, 얼굴은 분을 따고 넣은 듯이 흰 얼굴이나 인정 없이 뜨겁게 내리쪼이는 가을 볕에 얼굴이 익어서 선앵둣빛이 되고, 걸음걸이는 허둥지둥하는데 옷은 흘러내려서 젖가슴이 다 드러나고 치맛자락은 땅에 질질 끌려서 걸음을 걷는 대로 치마가 밟히니, 그 부인은 아무리 급한 걸음걸이를 하더라도 멀리 가지도 못하고 허둥거리기만 한다. 남이 그 모양을 볼 지경이면 저렇게 어여쁜 젊은.. 2020. 9. 24.
최척전(崔陟傳) 전문 - 조위한 소설 듣기 최척전(崔陟傳) - 조위한 최적의 자는 백승이며 남원 사람이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 숙과 함께 남원부 서문밖에 있는 만복사의 동쪽에서 외롭게 살고 있었다. 최척은 어려서부터 뜻이 크고 기개가 있었으며, 친구와 어울려 놀기를 좋아하고, 사소한 예절에는 구애를 받지 않았다. 이에 그의 아버지가 경계하여 말했다. “네가 배우지 않으면 무뢰한이 될 터인데, 너는 장차 어떤 사람이 되려 하느냐? 하물며 지금 나라에 전쟁이 일어나 바야흐로 고을마다 무사를 징집하고 있는데, 너는 쓸데없이 활을 쏘거나 말을 타고 놀며 늙은 아비에게 근심만 끼치고 있으니 효자라고 할 수 있겠느냐? 머리를 숙이고 선비를 좇아 과거 공부를 한다면, 비록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는 오르지 못할 지라도 등에 화살을 지고 .. 2020. 9. 24.
국어 수사법 글쓴이의 사상과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현의 기교, 크게 보아 세 가지로 구분된다. -비유법 : 표현하려는 대상을 그와 비슷한 사물과 비겨서 표현(비유하기) -강조법 : 문장에 힘을 주어 강조함으로써 인상을 주는 방법(강조하기) -변화법 : 단조로움, 지루함을 피하려고 변화를 주는 방법(변화주기) 1. 비유법 (比喩法)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활유법, 의성법, 의태법, 풍유법, 대유법, 중의법, 상징법, 우화법이 있다. ① 비유란 말하고자 하는 사물이나 의미를 다른 사물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② 비유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원관념)과 비유하는 사물(보조 관념)의 상관 관계가 성립된다. 즉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 유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③ 대개의 경.. 2020. 9. 24.
고전시가의 흐름 고전시가의 흐름 1) 고대 가요 1. 개념 삼국시대 이전의 노래로서 오늘날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몇 편뿐인데, 기록의 한계상 그 본래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시기의 노래가 특별한 양식으로 형성되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고대 가요'라 부른다. 2. 특징 상고 시대의 노래들이 지니는 공통점은 그것이 모두 노래로 전해지다가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노래들이 널리 전해진 것은 의식적인 노래로서의 가치 때문이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노래들을 주술 또는 제의 중심의 생활상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구지가'는 노동이나 놀이에 노래가 수반되었다는 전통성과 보편성을 보여 주는 반면에, '공무도하가'나 '황조가', '정읍사'는 인간 본연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어.. 2020. 9. 24.
시조(時調)에 대하여 시조(時調)에 대하여 (1) 정의 3장 6구 45자 내외의 형식으로 된 우리 민족 고유의 대표적 정형시이다. (2) 발생 시조는 신라 향가와 고려 가요(속요)의 영향을 받아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국문학의 한 장르로서 정립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이르러 더욱 크게 유행한 시가 양식이다. (3) 명칭 ① ‘시조’ 이전의 명칭 : 단가(短歌), 시여(詩餘), 신조(新調), 신번(新飜), 영언(永言) 등 ② 시조란 이름은 조선 시대 영조 때의 가객(歌客) 이세춘이 붙인 창곡상의 명칭으로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준말이다. (4) 기본 형식 (=평시조의 형식) ① 초장-중장-종장의 3장, 6구, 45자 내외로 구성된다. ② 각 장은 2구, 4음보, 15자 내외로 구성된다. ③ 각 음보는 3 ․ 4조 또는.. 2020. 9. 24.
주제별 한자성어 [주제별 한자성어] 효(孝) -事親以孝(사친이효)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함. 세속오계의 하나 -父子有親(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의 道(도)는 친애에 있음. 五倫(오륜) 의 하나 -父爲子綱(부위자강)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 지킬 떳떳한 도리. 삼강의 하나. -昏定晨省(혼정신성) 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反哺之孝(반포지효) 반포(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주는 것)하는 효도. 전하여, 자식이 자라서 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는 것을 말함. -反哺報恩(반포보은) 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 -風樹之嘆(풍수지탄) 효도하려 할 때, 이미 부모는 돌아가셔서, 효행을 다하지 못하는 슬픔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밖에 나갈 때 가는 곳을 반드시 아뢰고, 돌아와서는 반드.. 2020. 9. 24.
'소설의 시점과 거리' 특징 및 출제 유형 분석 | 소설의 시점 시점의 종류 특징 내용 1인칭 주인공 개념 작품 속 주인공 ‘나’가 보고 느낀 일을 고백함 장점 ① 인물의 내면세계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 ② 독자의 감정에 직접 호소함 단점 ① 내용이 주관적이라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서술이 요구될 때에는 부적절함 ② 타인의 내면세계가 요구될 때 부적절함 작품 김유정 '봄봄', 이상 '날개', 성석제 '내가 그린 히말라야시다 그림' 1인칭 관찰자 개념 부수적 인물인 ‘나’가 관찰자로서 주인공의 행동을 독자에게 전달함 장점 ① 같은 이야기라도 화자에 따라 독자에게 전혀 새롭게 전달됨 ② 신뢰성과 현실성 부여 ③ 내면이 직접 드러나지 않아 긴장감과 신비감 줌 ④ 주인공 묘사 가능 단점 ① 경험의 제한 : 폭넓은 인생에 대한 내용 전달 부적합 ② 독자의 이야기 속.. 2020.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