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고전운문 6

정인보 '자모사' 전문

1 가을은 그 가을이 바람불고 잎 드는데(떨어지는데) 가신 님 어이하여 돌오실 줄 모르는가 살뜰히 기르신 아이 옷 품 준 줄 아소서 가을은 다시 오건만 어머니는 오시지 않고 어느새 아이의 몸은 커져 옷 품이 줄었다. (구별 배행) 2 부른 배 골리보고 나은 얼굴 병만 여겨 하루도 열두 시로 곧 어떨까 하시더니 밤송인 쭉으렁*인 채 그저 달려 삽내다 부른 자식의 배도 고파보이고, 나은 얼굴도 병든 것 같아 종일 걱정하시더니 자식은 찌그러진 밤송이처럼 달려 삽니다. (장별 배행) * 쭉으렁 : 속담 '쭉으렁 밤송이 삼년 달린다.' 인용. 다병(多病)한 사람이 그대로 부지하는 것과 못 생기고 오래 사는 것에 견주어 말함. 3 동창에 해는 뜨나 님 계실 때 아니로다 이 설움 오늘날을 알았드면 저즘미리 먹은 맘 ..

문학/고전운문 2021.09.09

신도가 - 정도전

신도가(新都歌) - 정도전(鄭道傳) 녜는 楊州(양주)이 꼬올히여 디위예 新都形勝(신도형승)이샷다. 開國聖王(개국성왕)이 聖代(성대)를 니르어샷다. 잣다온뎌 當今景(당금경) 잣다온뎌 聖壽萬年(성수만년)하샤 萬民(만민)의 咸樂(함락)이샷다. 아으 다롱다리 알픈 漢江水(한강수)여 뒤흔 三角山(삼각산)이여 德重(덕중)하신 江山(강산) 즈으메 萬歲(만세)를 누리쇼셔. 옛날에는 양주의 고을이여 그 경계에 새 도읍의 지세와 풍경이 빼어나도다 개국성왕께서 성대를 이룩하셨도다. 도성답도다! 지금의 경치가 참으로 도성답도다! 성수만년 하시니 만 백성 모두 기쁨이로다 아으 다롱다리 앞은 한강수요, 뒤는 삼각산이라 덕이 많으신 강산 사이에서 만세를 누리소서 핵심 정리 - 연대 : 조선 태조 3년 - 갈래 : 악장(속요체), ..

문학/고전운문 2021.06.04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정인지(鄭麟趾:1396∼1478) - 안지(安止:1377∼1464) - 권제(權題 : 1387∼1445) 海東六龍(해동육룡)이 나르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하시니 우리 나라에 여섯 성인이 웅비하시어, 하는 일마다 모두 하늘이 주신 복이시니, 이는 중국의 옛 성군들과 같으십니다. 해동(우리나라)의 여섯 용이 날으시어서, 그 행동하신 일마다 모두 하늘이 내리신 복이시니, 그러므로 옛날의 성인의 하신 일들과 부절을 합친 것처럼 꼭 맞으시니. 불휘 기픈 남근 바라매 아니 뮐쌔 곶됴코 여름 하나니 새미 기픈 므른 가마래 아니 그츨쌔 내히 이러 바라래 가나니 뿌리가 깊은 나무는 아무리 센 바람에도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꽃이 좋고 열매도 많이 열립니다. 샘이 깊..

문학/고전운문 2021.05.24

부벽루(浮碧樓) - 이색

부벽루(浮碧樓) 이색(李穡) 昨過永明寺 (작과영명사) 暫登浮碧樓 (잠등부벽루) 城空月一片 (성공월일편) 石老雲千秋 (석로운천추) 麟馬去不返 (인마거불반) 天孫何處遊 (천손하처유) 長嘯倚風岉 (장소의풍등) 山靑江自流 (산청강자류) 어제 영명사를 지나다가 잠시 부벽루에 올랐네. 성은 텅 빈 채로 달 한 조각 떠 있고 오래된 조천석 위에 천 년의 구름 흐르네. 기린마는 떠나간 뒤 돌아오지 않는데 천손은 지금 어느 곳에 노니는가? 돌다리에 기대어 휘파람 부노라니 산은 오늘도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르네. *영명사 : 평양 금수산에 있는 절. 고구려 광개토왕이 지은 아홉 절 중의 하나라고 전함 *부벽루 : 평양 모란봉 아래 절벽, 대동강 변에 위치한 누각으로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듯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조천석 ..

문학/고전운문 2021.03.18

고려가요 기출 문제 112제(서경별곡, 동동, 정과정, 정석가, 경기체가, 사모곡, 청산별곡)

| 서경별곡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1~14) 1. 이 노래의 주제와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① 진달래꽃 ② 서경별곡 ③ 아리랑 ④ 청산별곡 ⑤ 황진이의 시조 ‘어져, 내일이야 ···’ 2. 이 노래의 형식을 말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비분절체로 됨 ② 각 연이 조음구를 가짐 ③ 기·승·전·결의 구성 ④ 3음보의 율격 ⑤ 1연이 2구로 구성됨 3.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실린 이 노래의 곡조명은 무엇입니까? 4. (가)~(라) 중 작중 화자가 드러난 것은? 5. 다음 시어 중, 행동의 주체가 다른 하나는? ① 가시리 가시리잇고 ② 버리고 가시리잇고 ③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④ 선하면 아니 올셰라 ⑤ 가시는듯 도셔 오쇼셔 6. (가)~(라) 중 작가의 감정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

문학/고전운문 2020.10.14

설총 '화왕계' 문제

화왕계 문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신은 옛날에 화왕(花王)1)이 처음 왔을 때의 이야기를 들은 바 있습니다. 화왕을 향기로운 동산에 심고 푸른 장막으로 보호하였는데, 삼춘을 당하여 예쁜 꽃을 피우니 이는 다른 꽃보다 유달리 뛰어났다 합니다. 이에 가까운 곳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탐스러운 영기(靈氣)2)와 요요한3) 향기를 풍기므로 온갖 꽃들은 분주히 화왕을 뵙고자 하였으며, 오직 그 뜻을 이루지 못할까 두려워하였다 합니다. 이 때, 한 아름다운 사람이 있어㉠붉은 얼굴, 옥 같은 이에 깨끗한 옷으로 몸을 단장하고 홀로 맵시있게 화왕의 앞으로 나와 말하였습니다. “첩은 흰 눈 같은 모래밭을 밟고 거울 같이 맑은 바다를 대하며, 봄비에 목욕하여 때를 씻고 상쾌한 맑은 바람을 쐬고 사는데 이름..

문학/고전운문 2020.09.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