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왕계 문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신은 옛날에 화왕(花王)1)이 처음 왔을 때의 이야기를 들은 바 있습니다. 화왕을 향기로운 동산에 심고 푸른 장막으로 보호하였는데, 삼춘을 당하여 예쁜 꽃을 피우니 이는 다른 꽃보다 유달리 뛰어났다 합니다. 이에 가까운 곳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탐스러운 영기(靈氣)2)와 요요한3) 향기를 풍기므로 온갖 꽃들은 분주히 화왕을 뵙고자 하였으며, 오직 그 뜻을 이루지 못할까 두려워하였다 합니다.
이 때, 한 아름다운 사람이 있어㉠붉은 얼굴, 옥 같은 이에 깨끗한 옷으로 몸을 단장하고 홀로 맵시있게 화왕의 앞으로 나와 말하였습니다.
“첩은 흰 눈 같은 모래밭을 밟고 거울 같이 맑은 바다를 대하며, 봄비에 목욕하여 때를 씻고 상쾌한 맑은 바람을 쐬고 사는데 이름은 장미라고 합니다. 지금 임금[花王]님의 높으신 덕이 있음 을 듣고 찾아왔사오니 기어이 베개를 향유(香帷)4)에 드리도록 임금님께서는 허락하여 주소서.“
이 때 또 한 장부가 있어, 베옷에 가죽띠를 띠고, 머리는 백발인데 손에는 지팡이를 짚고 쇠약한 걸음으로 허리를 굽히고 와서 말하였습니다.
“저는 서울 밖 큰 길가에 사옵는데, 아래로는 창망한5) 들 경치를 임하고 위로는 높고 험한 산의 경치를 바라보고 사는데 이름은 백두옹(白頭翁)6)이라 하나이다. 그런데, 가만히 말씀 드릴 것은 임금님은 좌우에서 온갖 물건을 충족하게 공급하여 고량진미(膏粱珍味)7)로써 배를 불리고, 차와 술로써 머리를 맑게 하나, 건포(巾布)8)를 충분히 저장하여 놓고, 모름지기 좋은 약으로 원기를 돋우며, 모진 돌로써 온갖 독소를 깨끗하게 없애야 합니다. 그러므로, 비록 ㉡사마(絲麻)9)가 있으나 관괴(管蒯)10)를 버리지 않고 모든 군자들은 대궤(代匱)11)하지 않음이 없다 하는데, 임금님께서는 이 뜻이 어디 있는지 아시지 못하겠나이까?”
하였습니다.
그런데, 혹자는 말하기를,
“둘이 왔는데 어느 것을 취하고 어는 것을 버리겠나이까?”
하였다 합니다. 화왕은
“장부의 말이 또한 도리가 있으나, 아름다운 사람을 얻기도 어려우니 장차 어찌하면 좋을꼬?”
하였습니다. 장부는 다시 앞으로 나아가 말하기를,
“저는 임금께서 총명하여 옳은 이치를 아시는가 생각한 까닭으로 왔사오나 지금 보니 곧 그렇지 못하옵니다. 무릇 임금된 자는 ㉢간사하고 요망한 자를 친근히 하지 말고 정직한 자를 멀리 아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맹자(孟子)는 불우하게 몸을 마쳤고, 풍당랑(馮唐郞)12)은 몰래 머리를 희게 하였습니다. 옛날부터 이와 같은데 저인들 어찌 하겠습니까?“
하니, 화왕이 말하기를
“내가 잘못했다. 내가 잘못했다.”
하였다 합니다.
-설총, ‘화왕계(花王戒)’
1) 화왕 : 꽃 중의 왕이라 하여 모란을 이르는 말
2) 영기 : 영묘한 기운
3) 요요한 : 아름다운
4) 향유 : 향기로운 장막
5) 창망한 : 넓고 멀어서 아득한
6) 백두옹 : 할미꽃을 이르는 말
7) 고량진미 : 살진 고기과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8) 건포 : 두건을 만들 때
9) 사마 : 명주실, 삼실과 같은 좋은 물건
10) 관괴 : 기러풀[띠], 왕골과 같은 거친 물건
11) 대궤 : 궁한 나머지 딴 것으로 대용을 삼음.
12) 풍당랑 : 한(漢)나라 안릉(安陵) 사람. 어진 인재였으나 벼슬이 낭관(郎官 : 상서를 도와 정무를 맡아 보던 보잘 것 없는 직책)에 그쳤다.
1. 윗글의 서술상의 특징을 올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사건이 일어난 원인과 결과를 밝히고 있다.
②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인간사를 표현하고 있다.
③ 자연물에 자신의 감정을 의탁하여 표현하고 있다.
④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건의 전개를 서술하고 있다.
⑤ 대상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명료하게 드러내고 있다.
2. 문맥으로 보아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장미 ② 백두옹 ③ 정직한 자 ④ 맹자 ⑤ 풍당랑
3. ㉠은 ‘미인(美人)’을 뜻하는 말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상을 표현한 것은?
①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② 오월은 계절의 여왕이다.
③ 꽃처럼 귀여운 우리 아가야.
④ 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⑤ 그는 으르렁거리는 파도를 보지 않으려고 애를 썼다.
4. ㉡과 같은 생각을 담고 있는 것은?
① 우리는 항상 불의에 닥칠 재난에 대비해야 한다.
② 풍족해진 후에도 좋은 물건은 계속 모아야 한다.
③ 자신의 능력을 살피지 않고 함부로 날뛰어서는 안 된다.
④ 작은 것을 얻으려다가 큰 것을 잃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된다.
⑤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정신만 차리면 그것을 헤쳐 나갈 방법을 찾을 수 있다.
5. ㉢의 행위를 풍자한 것은?
① 春山(춘산)에 눈 노긴 람 건 듯 불고 간 대 업다. / 져근 듯 비러다가 불리고쟈 마리 우 희, / 귀 밋태 해무근 서리를 노겨 볼가 하노라. - 우탁
② 구룸이 無心(무심) 말이 아마도 虛浪(허랑)다. / 中天(중천)에 떠 이셔 任意(임의)로 니면셔 / 구태야 光明(光明) 날빛 따라가며 덥니 -이존오
③ 이런들 엇더며 져런들 엇더리. / 萬壽山(만수산) 드렁츩이 얼거진들 긔 엇더리. / 우리도 이치 얼거져 百年(백년)까지 누리리라. - 이방원
④ 梨花(이화)에 月白(월백)고 銀漢 (은한)이 三經(삼경)인제, / 一指春心(일지춘심)을 子規(자규)야 아랴마, / 多情(다정)도 병인 양야 잠 못 드러 노라. - 이조년
⑤ 이 몸이 죽어 죽어 一百番(일백 번) 고쳐 죽어, / 白骨(백골)이 塵土(진토) 되야 넉시라도 잇고 업고, / 님 向(향) 一片丹心(일편단심)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 정몽주
< 풀이 및 정답 >
1. ② 평가 목표 : 비판적 사고, 평가 내용 : 글의 서술상의 특징 파악. 이 글은 모란[화왕], 장미, 할미꽃[백두옹]을 의인화하여 임금으로 하여금 간신을 멀리하고 정직한 신하를 가까이 해야 함을 일깨워 주려는 글이다. 즉 신라 신문왕(新文王) 때 한학(漢學)의 대가인 설총(薛聰)이 한문 문장으로 지은 우언적(寓言的)인 단편 산문으로, 어느 날 신문왕으로부터 무슨 신기한 이야기를 하라는 명을 받고 설총이 들려 준 이야기라 하는데, 꽃을 의인화하여 신문왕의 어질지 못함을 충고한 풍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2. ① 평가 목표 : 사실적 사고, 평가 내용 : 정보 간의 관계 이해. ②는 임금의 잘못을 일깨워 주고 있으므로 ‘정직한 자’이며, ④와 ⑤는 임금이 간사한 자를 가까이 하여 등용되지 못한 사람들로 역시 ‘정직한 자’에 해당한다. ①은 임금의 말로 보아 ‘아름다운 사람’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백두옹이 말하는 ‘간사하고 요망한 자’이다.
3. ④ 평가 목표 : 추리․상상적 사고, 평가 내용 : 표현의 유사성 파악. ㉠은 미인의 특징의 하나인 미인의 신체의 일부이다. 즉, ㉠은 사물의 일부분으로 사물 전체를 표현하는 수법[代喩法]이다. ④의 ‘빵’은 사람이 먹는 음식의 한 종류로, 음식 전체를 뜻하는 말이다. ①은 풍유(諷諭), ②는 은유(隱喩), ③은 직유(直喩), ⑤는 활유(活喩㉡)의 수사법이 쓰인 표현이다.
4. ① 평가 목표 : 추리․상상적 사고, 평가 내용 : 어구의 함축적 의미 이해. ㉡은 ‘명주실과 삼실 같은 품질이 좋은 실이 있으나, 이들이 없어지는 때를 대비하여 이들 대신 쓸 수 있는 기렁풀과 왕골을 준비해 둔다.’는 것을 뜻하는 말로,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정신을 나타낸 말이다.
5. ② 평가 목표 : 추리 ․상상적 사고, 평가 내용 :주제의 추리. ㉢은 그 앞의 문맥으로 보아, 임금의 총명을 흐리게 하는 자이다. ②에서 ‘구름’은 하늘에 떠 다니면서 ‘광명한 날빛[해의 밝은 빛]’을 가리는 행위를 한다. ‘광명한 날빛’을 ‘임금의 총명’으로 본다면, 구름은 임금의 총명을 흐리게 만드는 간신으로 볼 수 있다. 즉 ②는 ‘임금의 총명을 흐리는 간신의 횡포를 풍자’한 것이다. ①은 ‘늙음을 한탄’한 것이고, ③은 ‘마음을 바꾸어 같이 어울려 살 것을 종용[회유]’한 것이며, ④는 ‘봄밤의 애상(哀想)을, ⑤는 ’변하지 않는 충성심‘을 노래한 것이다.
'문학 > 고전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인보 '자모사' 전문 (0) | 2021.09.09 |
---|---|
신도가 - 정도전 (0) | 2021.06.04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0) | 2021.05.24 |
부벽루(浮碧樓) - 이색 (0) | 2021.03.18 |
고려가요 기출 문제 112제(서경별곡, 동동, 정과정, 정석가, 경기체가, 사모곡, 청산별곡)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