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문학학습 8

1960년대 전후소설의 대립 구조와 주제 의식

한국문학논총 제45집(2007. 4) 409~432쪽 1960년대 전후소설의 대립 구조와 주제 의식 - 광장 ․ 방앗골 革命 ․ 시장과 전장 을 중심으로 - 1) 이성우* 차 례 Ⅰ. 한국전쟁의 특수성과 문학적 인식 Ⅱ. 남북 대치 상황에서 중립국 선택의 의미 Ⅲ. 상․하촌의 대립과 자족적인 공간 설정 Ⅳ. ‘시장’을 바라보는 대조적 시선, 그리고 양시쌍비론 Ⅴ. 객관적 현실과 소설적 현실 사이의 거리 * 고려대학교 강사 Ⅰ. 한국전쟁의 특수성과 문학적 인식 한국전쟁의 성격을 한마디로 규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전쟁 발발 이후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도 전쟁을 바라보는 주체의 시각에 따라 ‘동족상잔의 비극’이나 ‘강대국의 대리전’, 또는 ‘민족해방전쟁’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만 봐도 그 사..

문학/문학학습 2021.04.19

한문소설 대표 작품 이해

고전소설 (古典小說) [1]정의 ㆍ19세기 말까지의 우리소설 ㆍ고전(古典)이란 불변의 보편적 가치를 지닌 것들로 평가된 작품’이란 의미가 아닌 시기적으로 1900년대 이전의 소설을 총괄하기 위한 편의상 용어 [2]기원 ㆍ15세기 말에 출현한 김시습의 〈금오신화〉소설의 초기 형태를 갖춘 첫 작품 ㆍ16세기 말경에 한글 표기 〈홍길동전〉이 본격적인 소설 시대 열림 ㆍ소설의 기원은 대체적 설화 문학에 둠 ㆍ설화 문학을 이루고 있는 화소들의 결합 또는 변형 수용 등이 소설의 기원이 됨 ㆍ이 과정에서 가전(假傳)문학에서 볼 수 있는 傳奇的, 허구적 창조 정신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것 [3]일반적 특징 형 식 주인공의 일생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서술하는 일대기 형식이 주류 내 용 ①勸善懲惡이 가장 두드러진 주..

문학/문학학습 2021.02.18

고전 소설 이론(개념, 명칭, 범위)

고전소설 (古典小說) 제1장 고전소설의 개념.명칭.범위 [1] 고전소설 1.범위 ①시기 : 조선초 15C ~ 조선말 19,20C 초기, 약5세기 동안창작.17~19C 3세기 동안 대부분창작 ②범위 : 설화, 야담, 전, 실기등 구별하기 어려운 잡서, 문집속의 작품까지 넓게 포함 2.개념 ①어원적뜻 : 변변찮은 이야기 ②최초언급 : 장가의[外物]“飾小說以干縣令其於大達亦矣”, 꾸며진 이야기로 현령(출세,영달)구하다.이는 크게 도 달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멀어지는 것이다. ③반고(班固)의 [한서] : 패관이 거리에서 떠도는 이야기, 수집한 것이 소설이라고 설명 3.명칭 ①고대소설 : 역사상 특정시대라는 느낌 (중세이전시대) 소설은 중세시대(보편적 질서확립시기:종교, 문자보급)에 등장하므로 지시대상의 명칭과..

문학/문학학습 2021.02.15

시 분석하기 십계명

① 제목을 의심하라! - 시의 내용, 주제, 소재, 배경(시간적, 공간적) 등과 연관 지어 생각하라! ② 시적 화자를 찾아라! - 시에서 말하는 이는 누구인가? ③ 주어와 서술어에 주목하라! - 주어 : 시적 화자, 핵심 시어 파악하기 - 서술어 : 어조, 시제, 시적 화자의 태도, 시적 화자의 정서, 어미의 반복 - 운율, 리듬 ④ 반복되는 시어(구절)나 표현을 찾아라! - 반복되는 시어(구절)나 표현은 강조하기 위함이고 그것이 중요한 것이다. ⑤ 독특한 표현이나 특징을 찾아라! - 대사(대화체), 낯선 표현, 낯선 시어, 모르는 단어 ⑥ 어조를 분석하라! - 시적 화자의 목소리를 분석하라 : 목소리(남/여, 톤-친근한/ 엄숙한/ 떨리는/ 혼잣말/ 외침/절규/ 선언, 높은/낮은 등) ⑦ 육하원칙(5W ..

문학/문학학습 2021.02.15

희곡과 시나리오

희곡 1. 희곡의 개념 ⑴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한 연극의 대본이다. ⑵ 배우, 무대 관객과 함께 연극의 한 요소다 ⑶ 희곡은 허구적 사건을 다루는 점에서 소설과 같으나, 소설처럼 사건을 묘사하거나 서술하지 않고 대화와 행동을 통하여 그것을 제시 하는 산문 문학이다. 2. 희곡의 특성 ⑴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한 문학 : 희곡은 무개 상연을 전제로 한 문학 , 즉 연극의 각본이다. 이로 인해 많은 제약이 따른다. 물론 공연을 전제로 하지 않고 순전히 읽히기 위해서 씌어진 희곡(레제 드라마 :lese-drama)도 있다. ⑵ 대사의 문학 : 희곡은 대사를 표현 방법으로 하는 문학이다. 서술자가 서술과 묘사를 하는 소설과 달리, 희곡에서는 등장인물의 대사를 통하여 줄거리가 전개된다. ⑶ 행동의 문학 : 희곡은 ..

문학/문학학습 2020.11.09

조선 전기 후기 가사 문학의 이해와 감상

조선 전기 가사 문학의 이해와 감상 1. 개요 1) 정의(定義) 고려 말 경기체가가 쇠퇴하고, 시조가 형태를 갖추어 조선 초에 이르면서 그것이 본격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창작되고 있을 무렵을 전후하여 나타난 장르로서, 시조와 더불어 주로 사대부(士大夫) 사회에서 널리 창작되어진 노래를 말한다. 2) 형식(形式) ① 3(4)․4 조의 연속체로, 4음보로 된 운문이다. ② 마지막 행은 대체로 시조의 종장과 일치한다.(시조의 종장처럼 된 가사 형식을 정격(正格) 가사라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變格) 가사라 한다.) 3) 내용(內容)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심정을 읊은 서정적인 것과 임금에 대한 은총, 기행 등 서사적 성격의 특성이 보인다. 2. 발달 과정 1) 발생과 전개 ① 가사의 발생에 ..

문학/문학학습 2020.10.14

고전시가의 흐름

고전시가의 흐름 1) 고대 가요 1. 개념 삼국시대 이전의 노래로서 오늘날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몇 편뿐인데, 기록의 한계상 그 본래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시기의 노래가 특별한 양식으로 형성되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고대 가요'라 부른다. 2. 특징 상고 시대의 노래들이 지니는 공통점은 그것이 모두 노래로 전해지다가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노래들이 널리 전해진 것은 의식적인 노래로서의 가치 때문이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노래들을 주술 또는 제의 중심의 생활상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구지가'는 노동이나 놀이에 노래가 수반되었다는 전통성과 보편성을 보여 주는 반면에, '공무도하가'나 '황조가', '정읍사'는 인간 본연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어..

문학/문학학습 2020.09.24

시조(時調)에 대하여

시조(時調)에 대하여 (1) 정의 3장 6구 45자 내외의 형식으로 된 우리 민족 고유의 대표적 정형시이다. (2) 발생 시조는 신라 향가와 고려 가요(속요)의 영향을 받아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국문학의 한 장르로서 정립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이르러 더욱 크게 유행한 시가 양식이다. (3) 명칭 ① ‘시조’ 이전의 명칭 : 단가(短歌), 시여(詩餘), 신조(新調), 신번(新飜), 영언(永言) 등 ② 시조란 이름은 조선 시대 영조 때의 가객(歌客) 이세춘이 붙인 창곡상의 명칭으로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준말이다. (4) 기본 형식 (=평시조의 형식) ① 초장-중장-종장의 3장, 6구, 45자 내외로 구성된다. ② 각 장은 2구, 4음보, 15자 내외로 구성된다. ③ 각 음보는 3 ․ 4조 또는..

문학/문학학습 2020.09.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