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논총 제45집(2007. 4) 409~432쪽 1960년대 전후소설의 대립 구조와 주제 의식 - 광장 ․ 방앗골 革命 ․ 시장과 전장 을 중심으로 - 1) 이성우* 차 례 Ⅰ. 한국전쟁의 특수성과 문학적 인식 Ⅱ. 남북 대치 상황에서 중립국 선택의 의미 Ⅲ. 상․하촌의 대립과 자족적인 공간 설정 Ⅳ. ‘시장’을 바라보는 대조적 시선, 그리고 양시쌍비론 Ⅴ. 객관적 현실과 소설적 현실 사이의 거리 * 고려대학교 강사 Ⅰ. 한국전쟁의 특수성과 문학적 인식 한국전쟁의 성격을 한마디로 규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전쟁 발발 이후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도 전쟁을 바라보는 주체의 시각에 따라 ‘동족상잔의 비극’이나 ‘강대국의 대리전’, 또는 ‘민족해방전쟁’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만 봐도 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