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반응형

문학 214

정지용 '유리창(琉璃窓)'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정지용 '유리창(琉璃窓)' * 핵심 정리갈래자유시, 서정시성격주지적, 감각적, 회화적, 상징적주제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그리움과 슬픔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표현상의 특징쉼표를 통해 슬픔의 격한 감정을 절제함물 먹은 별이, 반짝 , 보석(保釋)처럼 백힌다.선명하고 감각적인 이미지를 사용함물 먹은 별 (시각), 차고 슬픈 것(촉각),산ㅅ새 (시각)역설법, 모순 형용, 감정의 대위법을 사용해 정서를 표현함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감정의 대위법을 통한 감정 절제) 2.‘외로운 황홀한 심사’와 같은 표현법이 사용된 시구 ①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유치환, ‘깃발’)②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이형기, ‘낙화’)③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한용운, ‘님의 침묵’)④ 정작..

문학/문학학습 2025.07.17

김소월 ‘진달래꽃’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김소월 ‘진달래꽃’ * 핵심 정리갈래자유시, 서정시운율3음보, 7․5 조의 민요적 율격성격전통적, 유교적, 여성적, 민요적주제이별의 정한(情恨)과 승화어조이별의 정한을 인종(忍從)으로 감수하는 전통적인 여성적 어조-인종(忍從) : 묵묵히 참고 좇는 것.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화자의 정서구성시행정서행위의 주체1연(기)말 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체념‘나’2연(승)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축복‘나’3연(전)사뿐히 즈려 밝고 가시옵소서.희생임4연(결)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극복‘나’ 2.표현상의 특징율격7․5조, 3음보의 민요조 율격이 드러남‘나 보기가∨역겨워∨가실 때에는’수미 상관1연과 4연이 반복됨 → 의미를 강조하고, 리듬감과 안정감를 룸1연, 4연반어법반어적 표현을 통..

문학/문학학습 2025.07.16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핵심 정리갈래평시조, 연시조, 강호 한정가운율3․4 조, 4․4조. 4음보성격낭만적, 전원적, 서정적, 회화적구성전체는 춘하추동 각 10수씩 40수로 된 연시조주제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살아가는 여유와 즐거움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구성계절소재내용춘사 4벅구기, 버들숩배에서 바라본 어촌의 봄 풍경(유유자적한 삶)하사 2년닙, 청약립, 녹사의소박한 어부의 삶과 물아일체적 삶의 즐거움추사 1츄강추강가을 강의 흥취동사 4눈, 만경류리, 쳔텹옥산눈 덮인 어촌의 아름다움에 대한 경탄 2.표현상의 특징 ① 계절과 시간의 흐름에 따름② 초장과 중장, 중장과 종장 사이에 후렴구가 있음③ 계절의 변화에 따른 어촌의 아름다움을 순 우리말을 통해 형상화함④ 각 수마다 ..

문학/문학학습 2025.07.15

'청산별곡(靑山別曲)'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청산별곡(靑山別曲) * 핵심 정리갈래고려 가요, 서정시운율3․3․2조, 3음보성격현실 도피적, 애상적, 체념적형식전 8 장의 분절체, 후렴구 있음주제삶의 고통과 비애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 상징적 시어의 함축적 의미 파악청산바다1연청산 : 현실 도피처 , 이상향5연돌 : 숙명적인 인간의 운명에 대한 체념2연새 : 감정 이입, 동병상련, 삶의 비애와 고독6연바랄(바다) : 현실 도피처, 이상향3연가던 새 : 속세에 대한 미련7연사슴 : 기적을 바라는 절박한 심정4연밤 : 절망적인 삶의 고독과 비탄8연술 : 현실의 고뇌를 잊게 하는 매개체 2. 표현상의 특징율격3․3․2 조, 3음보살어리∨살어리∨랏다구조‘a-a-b-a’의 구조가 반복적으로 나타남살어리(a) 살어리..

문학/문학학습 2025.07.14

김만중 '구운몽(九雲夢)'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김만중 '구운몽(九雲夢)' * 핵심 정리갈래고전 소설, 몽자류 소설, 양반 소설, 국문 소설, 염정 소설, 영웅 소설시점전지적 작가 시점특징몽자류 소설의 효시임조신 설화를 근원 설화로 함유교, 불교, 도교(신선) 사상이 배경에 깔려 있음전기적, 우연적 사건 전개로 고전 소설의 특징을 보여 줌.주제인생무상(人生無常)의 깨달음과 불법에의 귀의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 ‘구운몽’에 나타난 고전 소설의 특징중국, 비현실적인 공간중국을 무대로 ‘남악 형산 연화봉’이라는 비현실적인 장소를 설정함우연적, 전기적인 사건 전개우연적인 사건 전개(‘홀연 석양에 막대 던지는 소리가 나거늘’)와 비현실적인 장면(‘백호 빛이 세계에 쏘이고’)이 나타남행복한 결말성진과 팔 선녀가 모두 깨달음을 얻어 극락으로 감 ..

문학/문학학습 2025.07.13

'봉산(鳳山) 탈춤'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봉산(鳳山) 탈춤 * 핵심 정리갈래전통극, 가면극, 탈춤 대본성격풍자적, 해학적, 서민적배경시대적- 조선 후기 18세기 경공간적 - 황해도 봉산사회적 - 양반 봉건 제도의 해체기주제신분적 특권 계급인 양반에 대한 서민의 풍자와 조롱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 표현상의 특징① 언어 사용의 양면성 : 비속어와 한자어의 사용, 서민과 양반 계층의 언어가 혼합되어 있음② 언어 유희를 통한 해학성 : 말뚝이의 말장난을 통해서 양반에 대한 비판이 해학적으로 표현됨③ 운문 형식의 재담으로 대구, 열거 등의 다양한 표현 기법이 사용됨 2. 재담의 풍자 구조양반의 위엄 → 말뚝이의 조롱 → 양반의 호통 → 말뚝이의 변명 → 양반의 안심 3. 언어 유희적 표현① 개잘량이라는 ‘양’자에 개다리 소반이라는 ‘..

문학/문학학습 2025.07.12

김유정 '봄봄'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김유정 봄․봄 * 핵심 정리갈래단편 소설, 농촌 소설성격해학적, 토속적시점1인칭 주인공 시점배경시간적-1930년대 봄,공간적 - 강원도 어느 산골 마을주제성례를 둘러싼 장인과 사위의 갈등과 대립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구성상의 특징① 역순행적 구성② 결말을 절정 속에 삽입함으로써 극적 긴장감과 해학성을 높임2.해학적 특징① 인물의 희화화② ‘나’의 어수룩한 말과 행동③ ‘나’와 장인의 비정상적인 관계④ 비속어와 사투리의 사용⑤ 비정상적인 활극과 해결 방식⑥ 남녀 역할의 전도3.이 소설의 제목 ‘봄'의 상징적인 의미 : 젊은 남녀의 사랑4.등장 인물‘나’순박하고 어수룩한 인물장인교활하고 의뭉스러운 인물점순이당돌하고 적극적인 인물구장장인의 사주로 ‘나’를 협박하고 회유하는 인물뭉태‘나..

문학/문학학습 2025.07.11

정철 '속미인곡' 핵심 정리 및 대표 문제 5개 풀기

정철의 「속미인곡」은 조선 중기 가사 문학의 대표작으로, 임금에 대한 충절과 그리움을 여성 화자의 입을 빌려 표현한 작품작품 개요- 작가: 정철 (송강) - 갈래: 가사 (서정가사) - 형식: 두 여인의 대화체 구성 (갑녀와 을녀) - 성격: 서정적, 우의적, 충신연주지사 - 주제: 임금(임)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염원 구성 및 내용 요약1. 서사: 갑녀가 을녀에게 슬퍼 보이는 이유를 묻고, 을녀는 임과의 이별 사연을 이야기함. 2. 본사: 을녀가 임의 안부를 걱정하고, 임을 그리워하며 방황하는 모습이 묘사됨. 3. 결사: 을녀는 죽어서라도 임 곁에 있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냄. 갑녀는 위로하며 마무리. 주요 특징- 대화체 형식: 갑녀와 을녀의 문답을 통해 감정을 자연스럽게 전달. - 자연물의 상..

문학/고전산문 2025.06.25

유충렬전 전문 및 해설

유충렬전 전문각설, 대명국 영종황제 즉위(卽位) 초(初)에 황실이 미약하고 법령(法令)이 불행(不幸)한 중에 남만(南蠻) 북적(北狄)과 서역(西域)이 강성하여 모반할 뜻을 둠에, 이런 고로 천자 남경에 있을 뜻이 없어 다른 데로 도읍을 옮기고저 하시더니, 이때 마침 창해국(蒼海國) 사신이 왔음에 성은 임이요 명은 경천이라 하는 사람이거늘, 천자 반겨 인견(引見)하시고 접대한 후에 도읍 옮김을 의논하시니 임경천이 주왈, ​ “소신이 옥루(玉樓)에서 육대산천을 망기(望氣)하오니 금황지지(今皇之地)가 마땅하옵고 천하명산(天下名山)이 오악지중(五嶽之中)에 남악(南嶽) 형산(衡山)이 가장 신령한 산이요, 일국(一國) 주룡(主龍)이 되었고 창오산(蒼梧山) 구리봉은 변화하야 외청룡(外靑龍) 되었고 소상강(瀟湘江) 동..

문학/고전산문 2025.06.24

이강백 '파수꾼' 전문 일부

[앞부분 줄거리] 파수꾼들은 마을 밖 황야에서 세워진 망루에서 이리 떼가 나타나는지를 끊임없이 감시한다. 마을 사람들은 파수꾼이 이리 떼가 나타났다고 양철 북을 두드리면 언제라도 대피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새로 파견된 파수꾼 ‘다’는 망루 아래서 이리 떼의 습격을 감시하는 일을 하는데, 이리 떼가 나타났다는 선임 파수꾼 ‘가’의 외침과 북소리에 항상 겁먹고 긴장한다. 마을에서는 이리 떼가 나타났다는 신호에 겁을 먹고 피하다가 다리가 부러지는 사람이 생기기도 하고, 한 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일도 일어난다. 어느 날 저녁, 파수꾼 ‘다’는 다른 파수꾼들이 잠을 자는 사이에 망루에 올라갔다가 파수꾼 ‘가’가 외치는 이리 떼의 정체가 흰 구름이라는 사실을 알아내고 충격에 빠진다. 파수꾼 ‘다’는 ..

문학/현대산문 2025.06.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