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육사 '광야(曠野)'
*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저항시 |
성격 | 저항적, 의지적, 상징적, 남성적 |
주제 | 고통스러운 현실을 초극하려는 의지와 신념 |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구조 파악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1~3 연 | 4연 | 5연 | ||
광야의 원시성, 신성성, 역사성 |
→ | 광야의 현재성과 현실 극복 의지 | → | 미래 지향적 역사 의식 |
과거 : 까마득한 날 | 현재 : 지금 | 미래 : 천고의 뒤에 |
2.표현상의 특징
① 대조적인 시어(눈↔매화 향기)를 사용하여 주제를 강조함
② 역동적인 심상을 통해 주제 의식을 강조함
③ 함축적인 시어를 사용하여 조국 광복에 대한 염원을 드러냄
④ ‘~라’, ‘~랴’로 각 연을 끝맺어 리듬감을 줌
3.시적 화자의 부정적 현실 인식 태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시어
: 눈
4.시어의 상징적 의미
광야 | 민족사의 터전, 역사의 현장 |
닭 우는 소리 | 생명의 기척 |
강물 | 문명이나 역사 |
눈 | 일제 강점하의 암담한 현실 |
매화 향기 | 민족의 정기, 조국 광복의 기운 |
가난한 노래의 씨 | 자신의 희생으로 광복을 이루겠다는 의지- 속죄양 모티프 |
백마 타고 오는 초인 | 선구자적 인물 |
5.‘광야’의 문학적 아름다움
음악성 | ‘~라’, ‘~랴’로 각 연을 끝내 리듬감을 줌 각 연을 균등하게 3행씩 배열하고, 각 연은 1행에서 3행으로 가면서 계단 식으로 길어지게 배열함 |
|
형상성 | 하늘이 처음 열리고 | 광야의 탄생 장면 |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 광야의 형성 | |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 | 세월의 흐름 | |
눈 나리고 | 어두운 시대 상황 | |
함축성 | 함축적인 시어의 사용으로 조국의 광복에 대한 염원을 드러냄 |
#이육사 #광야 #핵심정리 #기출 #현대시
반응형
'문학 > 문학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미 독립 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20 |
---|---|
윤흥길 '장마'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19 |
정지용 '유리창(琉璃窓)'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17 |
김소월 ‘진달래꽃’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 | 2025.07.16 |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