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글 목록
반응형

2025/06/25 2

신체와 관련된 관용 표현 100

머리 관련 관용표현머리를 굴리다 : 머리를 써서 해결방안을 생각해내다 / 머리를 맞대다 : 어떤 일을 의논하거나 결정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대하다 / 머리가 크다-어른처럼 생각하거나 판단하게 되다 / 머리가 굳다-사고 방식이나 사상 따위가 완고하다 / 머리가 굵다-어른처럼 생각하거나, 판단하게 되다. / 머리를 숙이다-굴복하거나 저자세를 보이다 / 머리가 세다-복잡하거나 안타까운 일에 너무 골몰하거나 걱정하다 / 머리를 들이밀다:불현듯 떠오르거나 그러한 생각에 잠기다 / 머리를 들다: 눌려 있거나 숨겨온 생각- 세력 따위가 겉으로 나타나다. / 머리를 올리다-여자가 시집을 가다 눈 관련 관용 표현눈에 띄다 : 두드러지게 나타나다 / 눈 깜짝할 사이에 : 매우 짧은 순간 / 눈에 밟히다-잊히지 않고 자꾸 ..

국어/기타자료 2025.06.25

정철 '속미인곡' 핵심 정리 및 대표 문제 5개 풀기

정철의 「속미인곡」은 조선 중기 가사 문학의 대표작으로, 임금에 대한 충절과 그리움을 여성 화자의 입을 빌려 표현한 작품작품 개요- 작가: 정철 (송강) - 갈래: 가사 (서정가사) - 형식: 두 여인의 대화체 구성 (갑녀와 을녀) - 성격: 서정적, 우의적, 충신연주지사 - 주제: 임금(임)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에 대한 염원 구성 및 내용 요약1. 서사: 갑녀가 을녀에게 슬퍼 보이는 이유를 묻고, 을녀는 임과의 이별 사연을 이야기함. 2. 본사: 을녀가 임의 안부를 걱정하고, 임을 그리워하며 방황하는 모습이 묘사됨. 3. 결사: 을녀는 죽어서라도 임 곁에 있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냄. 갑녀는 위로하며 마무리. 주요 특징- 대화체 형식: 갑녀와 을녀의 문답을 통해 감정을 자연스럽게 전달. - 자연물의 상..

문학/고전산문 2025.06.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