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 핵심 정리
갈래 | 번역문, 전기문, 열전 |
성격 | 서사적, 교훈적, 예찬적, 유교적 |
특징 | 충, 효, 열을 행한 인물의 행적을 서술함 예화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과 관습을 알 수 있음 근대 국어 초기(17세기) 전반의 모습이 드러남 ‘인물 소개 → 인물의 행적 → 후일담과 평가’의 형식으로 구성됨 |
주제 | ① 경명충렬 : 고경명의 충성심 ② 이보할지 : 이보의 지극한 효심 ③ 최금타적 : 최금의 절개 |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내용 구성 살펴보기
‘한문 - 한글 - 그림’으로 구성됨
경명충렬 | 이보할지 | 최금타적 | |
인물 소개 | 광주 사람 | 용안현 사람 | 옥과현 사람, 노비의 아내 |
인물의 행적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움 → 사후 이적이 일어남 |
손가락을 잘라 악질에 걸린 아버지를 구함 | 정유왜란 때 남편과 두 아들을 죽인 왜적을 돌로 때려 죽임 |
후일담과 평가 | 정문과 사당을 세우고 좌찬성의 벼슬을 내림 | 평가 없음 | 정문을 내림 |
주제 | 충(忠) | 효(孝) | 열(烈) |
삼강 | 군위신강(君爲臣綱) | 부위자강(父爲子綱) | 부위부강(夫爲婦綱) |
오륜 | 군신유의(君臣有義) |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부유별(夫婦有別) |
2.편찬 의도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민심을 유교의 보급과 실천으로 바로잡기 위해 | → | 국민 도의의 회복 백성 교화 |
3.언어와 주변 세계의 상호 관계
- 언어와 사고 : 언어적 표현을 통해 사고와 행동 방식을 교화하려고 함.
- 언어와 사회 : 임진왜란 이후의 사회적 · 시대적 상황이 반영됨
- 언어와 문화 : 조선 시대의 유교적 사회 규범이 충실하게 나타남
4.표기상의 특징
- 근대 국어초기(17세기 전반)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 자료
#동국신속삼강행실도 #핵심정리 #기출문제
반응형
'문학 > 문학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상섬 '삼대(三代)'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22 |
---|---|
기미 독립 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20 |
윤흥길 '장마'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19 |
이육사 '광야(曠野)' 핵심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2) | 2025.07.18 |
정지용 '유리창(琉璃窓)' 핵심 정리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0)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