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38

하근찬 '수난이대' 전문 및 해석

수난이대 하근찬 진수가 돌아온다. 진수가 살아서 돌아온다. 아무개는 전사했다는 통지가 왔고, 아무개는 죽었는지 살았는지 통 소식이 없는데, 우리 진수는 살아서 오늘 돌아오는 것이다. 생각할수록 어깻바람이 날 일이다. 그래 그런지 몰라도 박만도는 여느때 같으면 아무래도 한두 군데 앉아 쉬어야 넘어설 수 있는 용머리재를 단숨에 올라채고 만 것이다. 가슴이 펄럭거리고 허벅지가 뻐근했다. 그러나 그는 고갯마루에서도 쉴 생각을 하지 않았다. 들 건너 멀리 바라보이는 정거장에서 연기가 물씬물씬 피어오르며 삐익 기적 소리가 들려 왔기 때문이다. 아들이 타고 내려올 기차는 점심때가 가까워 도착한다는 것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해가 이제 겨우 산등성이 위로 한 뼘 가량 떠올랐으니, 오정이 되려면 아직 차례 멀은 것이다. ..

문학/소설전문 2023.06.21

박영준 '모범 경작생' 전문 및 해석

모범 경작생(模範耕作生) 박영준 등장인물 • 길서 주인공인 모범 경작생으로 마을에서는 유일하게 보통학교까지 나온 청년이다. 동네 사람들의 어려운 생활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자신의 입신(立身)과 이익만을 위해서 관리들의 비위를 맞추는 반민족적 기회주의자이다. 이기적이고 소극적인 인간으로 일제의 수탈 정책에 이용당하며 군(郡)을 대표하는 ‘모범 경작생’이라는 칭호를 받지만, 결국 이기심으로 인해 마을 주민들로부터 배척을 당한다. 표면적으로는 순종적이고 부지런한 농군(일제의 관점에서는 모범적 인물)으로 비춰지지만, 이면적으로는 일제에 동조하는 이기주의자(농민의 관점에서는 ‘반민족적 기회주의자’)이다. • 의숙 성두의 여동생이자 길서의 연인이다. 길서를 사랑하지만 소극적이며, 비판 의식을 갖추지 못한 전통적..

문학/소설전문 2023.05.25

채만식 '태평천하' 전문 및 해석

태평천하[太平天下] 채만식 1. 尹直員[윤직원] 영감 歸宅之圖[귀택 지도] 더보기 추석을 지나 이윽고 짙어가는 가을해가 저물기 쉬운 어느날 석양. 저 계동(桂洞)의 이름난 장자(富者[부자]) 윤직원(尹直員) 영감이 마침 어디 출입을 했다가 방금 인력거를 처억 잡숫고 돌아와 마악 댁의 대문 앞에서 내리는 참입니다. 간밤에 꿈을 잘못 꾸었던지, 오늘 아침에 마누라하고 다툼질을 하고 나왔던지, 아뭏든 엔간히 일수 좋지 못한 인력거꾼입니다. 여느 평탄한 길로 끌고오기도 무던히 힘이 들었는데 골목쟁이로 들어서서는 빗밋이 경사가 진 20여 칸을 끌어올리기야, 엄살이 아니라 정말 혀가 나올 뻔했읍니다. 28관(105kg, 1貫 = 3.75kg, 척관법), 하고도 6백 몸메!…… 윤직원 영감의 이 체중은, 그저께 춘심..

문학/소설전문 2023.05.16

나도향 '벙어리 삼룡이' 전문 및 해석

벙어리 삼룡이 나도향 1 내가 열 살이 될락말락 한 때이니까 지금으로부터 십사오 년 전 일이다. 지금은 그곳을 청엽정(靑葉町)이라 부르지만 그때는 연화봉(蓮花峰)이라고 이름하였다. 즉 남대문에서 바로 내려다보면은 오정포(午正砲)가 놓여 있는 산등성이가 있으니 그 산등성이 이쪽이 연화봉이요, 그 새에 있는 동네가 역시 연화봉이다. 지금은 그곳에 빈민굴이라고 할 수밖에 없이 지저분한 촌락이 생기고 노동자들밖에 살지 않는 곳이 되어 버렸으나 그때에는 자기네 딴은 행세한다는 사람들이 있었다. 집이라고는 십여 호밖에 있지 않았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대개 과목밭을 하고, 또는 채소를 심거나, 아니면 콩나물을 길러서 생활을 하여 갔었다. 여기에 그중 큰 과목밭을 갖고 그중 여유 있는 생활을 하여 가는 사람이 하나 ..

문학/현대산문 2023.05.01

이해조 '자유종(自由鐘)' 전문 및 해석 (원문 포함)

근대 이후 개화 사상의 유입으로 신학문을 흡수한 새로운 소설 작가층이 대두하였는데, 이해조 또한 이 부류의 작가 중 하나다. '토론 소설'이라는 명칭이 붙은 이 소설로 자신의 정치 이념과 사상을 이야기했다. 이해조 "천지간 만물 중에 동물 되기 희한하고, 천만 가지 동물 중에 사람 되기 극난하다. 그같이 희한하고 그같이 극난한 동물 중 사람이 되어 압제를 받아 자유를 잃게 되면 하늘이 주신 사람의 직분을 지키지 못함이어늘, 하물며 사람 사이에 여자 되어 남자의 압제를 받아 자유를 빼앗기면 어찌 희한코 극난한 동물 중 사람의 권리를 스스로 버림이 아니라 하리요. 여보, 여러분, 나는 옛날 태평시대에 숙부인(淑夫人)까지 바쳤더니 지금은 가련한 민족 중의 한 몸이 된 신설헌이올시다. 오늘 이매경씨 생신에 청첩..

문학/현대산문 2023.04.27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 전문 및 분석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 *금수, 禽獸(새 금, 짐승 수) : 명사 1. 날짐승과 길짐승. 곧, 모든 짐승. 조수(鳥獸). 순화어는 `짐승'. 2. 무례하고 추잡한 행실을 하는 사람의 비유. "이런 ∼ 같은 놈!" / 짐승들의 회의 기록 이야기꾼(서술자)는 고전소설의 서사양식인 몽유록 양식으로써 즉, 꿈속에서 이야기꾼이 활동하는 이야기를 가상독자들에게 들려준다. "나"는 꿈속에서 금수회의소라는 곳에 가게 된다. 그곳에 많은 동물들이 인간의 온갖 악행에 대해 토론을 한다. 제 일석 반포지효 : 까마귀가 인간의 불효함을 비판한다. 반포지효라는 말은 까마귀가 늙은 부모를 돌본다는 뜻이다. 제 이석 호가호위 : 여우가 인간의 간사함을 비판한다. 제 삼석 정와어해 : 개구리가 인간의 견문이 좁음을 비판한다. 제 ..

문학/현대산문 2023.04.25

현대 소설 전문 모음 (연대별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 작품)

수능 국어영역에서 문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이며, 어떤 문학 문제를 출제해야 할까요? 아래 문학 평론가로 유명하신 김현 교수님의 글을 읽어보면 약간의 해답을 얻을 것 같습니다.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김 현 (1942~1990) ○ 문학은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을 억압하지 않는다 문학은 써먹을 수가 없다. 그렇다면 도대체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문학은 권력으로 가는 지름길이 아니며 부를 축적하게 하는 수단도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문학은 써먹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문학은 써먹지 못하는 것을 써먹고 있다. 서유럽의 한 위대한 지성이 탄식했듯이 우리는 문학을 함으로써 배고픈 사람 하나 구하지 못하며, 물론 출세하지도, 큰돈을 벌지도 못한다. 그러나 문학은 바로 그러한 점..

문학/현대산문 2023.04.23

공부나 합시다 - 김남주

해석할 수 없는 시입니다. 바깥세상이 시끄러운지라 수학 문제를 풀던 선생님이 잠시 분필을 놓으시고 사람 사는 이야기를 하려는데 학생 하나 벌떡 일어나 소리 지른다 - 선생님 공부나 합시다 때는 맑고 푸른 가을인지라 영어 문제를 풀던 선생님이 잠시 분필을 놓으시고 우리말 고운 시 하나 읊으려 하자 학생 하나 벌떡 일어나 소리 지른다 - 선생님 공부나 합시다 이런 학생 나중에 무엇이 될까 세상모르고 공부만 하여 남보다 수학 문제 하나 더 빨리 풀어 일등하여 일류대학 들어간들 무엇이 될까 이런 학생 나중에 시집 한 권 아니 읽고 공부만 하여 남보다 영어 단어 하나 더 많이 외어 우등으로 일류대학 들어간들 그런 학생 졸업하고 세상에 나오면 시끄러운 세상에 나와 높은 자리에 앉게 되면 말끝마다 입으로 학생은 공부..

문학/현대운문 2022.04.14

2023 수능 특강 문학 작품 갈래별 목록(~2022 수능 기출 분석)

​ 2023 수능 특강 문학 작품 갈래별 목록(역대 수능 기출 분석) 고전시가 35편 + 고전산문, 고전소설 30편 + 현대시 38편 + 현대소설 23편 + 극문학 7편 + 현대수필 4편 = 총137편이며 해당 작품명 또는 작가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니 빠르고 편리하게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오래된 작품, 기출제된 작가의 작품들은 숙지하세요. 고전시가 35편 구분 작품명 작가 기출 1 창 내고자 ~ 작자미상 2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 ~ 작자미상 2001 3 찬기파랑가 충담사 4 제망매가 월명사 1997 5 서경별곡 작자미상 6 월곡답가 정훈 2022 탄궁가 7 짚 방석 내지 마라 한호 8 청초 우거진 골에 임제 2014A.B 9 곡구롱 우는 소리에 오경화 10 사랑이 거짓말이 김상용 11 님이 헤오시매 ..

국어/수능 2022.03.30

김유정 '봄봄' 전문

봄봄 김유정   "장인님! 인제 저……"  내가 이렇게 뒤통수를 긁고, 나이가 찼으니 성례를 시켜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하면 대답이 늘, "이 자식아! 성례구 뭐구 미처 자라야지!"하고 만다.  이 자라야 한다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아내가 될 점순이의 키 말이다.  내가 여기에 와서 돈 한푼 안 받고 일하기를 삼 년 하고 꼬바기 일곱 달 동안을 했다. 그런데도 미처 못 자랐다니까 이 키는 언제야 자라는 겐지 짜장 영문 모른다. 일을 좀 더 잘해야 한다든지, 혹은 밥을 많이 먹는다고 노상 걱정이니까 좀 덜 먹어야 한다든지 하면 나도 얼마든지 할 말이 많다. 허지만 점순이가 아직 어리니까 더 자라야 한다는 여기에는 어째 볼 수 없이 고만 빙빙하고 만다. 이래서 나는 애최 계약이 잘못된 걸 알았다. 이태면 이..

문학/현대산문 2022.01.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