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운몽(九雲夢)
* 핵심 정리
갈래 | 고전 소설, 몽자류 소설, 양반 소설, 국문 소설, 염정 소설, 영웅 소설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특징 | - 몽자류 소설의 효시임 - 조신 설화를 근원 설화로 함 - 유교, 불교, 도교(신선) 사상이 배경에 깔려 있음 - 전기적, 우연적 사건 전개로 고전 소설의 특징을 보여 줌. |
주제 | 인생무상(人生無常)의 깨달음과 불법에의 귀의 |
* 이것만은 꼭! 출제 Point
1. ‘구운몽’에 나타난 고전 소설의 특징
중국, 비현실적인 공간 | 중국을 무대로 ‘남악 형산 연화봉’이라는 비현실적인 장소를 설정함 |
우연적, 전기적인 사건 전개 | 우연적인 사건 전개(‘홀연 석양에 막대 던지는 소리가 나거늘’)와 비현실적인 장면(‘백호 빛이 세계에 쏘이고’)이 나타남 |
행복한 결말 | 성진과 팔 선녀가 모두 깨달음을 얻어 극락으로 감 |
2. 제목의 상징적 의미
구(九) | 인물 | 성진과 팔 선녀(양소유와 2처 6첩) |
운(雲) | 주제 | 인생무상의 깨달음 |
몽(夢) | 구성 | ‘현실 - 꿈 - 현실’의 환몽 구조 |
3. 인물의 성격
양소유 |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부귀영화에 회의를 느껴 불교에 귀의하려 함 |
호승 | 승상(양소유)를 꿈에서 깨어나 현실로 돌아오게 함 |
4. 배경의 의미와 역할
- 절정 부분에 드러난 배경은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는 양소유의 내면적 갈등과 상응하여 인생무상을 상징함
5. ‘구운몽’의 구조
현실 | 꿈 | 현실 | ||
선계, 천상 | 인간계, 지상, 속세 | 선계, 천상 | ||
비현실적, 초월적, 형이상학적 | → | 현실적, 형이하학적 |
→ | 비현실적, 초월적, 형이상학적 |
불교 | 유교 | 불교 | ||
성진 | 양소유 | 성진 | ||
세속적 욕망으로 인한 번뇌 | 세속적 욕망 성취 | 득도, 깨달음 |
6 ‘구운몽’의 주제와 관련된 한자 성어
- 인생무상(人生無常), 일장춘몽(一場春夢), 남가일몽(南柯一夢), 한단지몽(邯鄲之夢), 일취지몽一炊之夢)
7. ‘꿈’의 상징적인 의미
- 성진이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임
- 깨닫지 못한 성진의 또 다른 모습임
- 인생무상(人生無常)이라는 주제를 드러냄
8. 양소유가 세속적 삶에 회의를 느끼고 있음을 드러내는 소재
- 퉁소 소리
9. ‘일체유위법(一切有爲法) 여몽환포영(夢幻泡影) 여로역여전(如露亦如電) 응작여시관(應作如是觀)’의 사상과 의미
- 사상 : 불교의 공(空)사상
- 의미 : 세상의 모든 것은 일시적이고 덧없다.
10. 세속적 삶에서 벗어나 불도에 정진하고자 하는 팔선녀의 의지를 보여 준 행동
- 연지분을 씻어 냄
- 흑운 같은 머리를 깎음

반응형
'문학 > 고전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약용 '수오재기(守吾齋記)' 전문 (0) | 2024.06.28 |
---|---|
서포 김만중 '구운몽(九雲夢)' 전문 (0) | 2021.11.17 |
김진형 '북천가(北遷歌)' 전문 (0) | 2021.11.05 |
'김수로왕 신화' 전문 (0) | 2021.10.20 |
의유당 '동명일기' 전문 (1)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