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현대운문

봄은 간다 - 김억

열공햐 2021. 2. 25. 18:15
반응형

 

봄은 간다

 

김억

 

 

밤이도다

봄이다.

 

밤만도 애달픈데

봄만도 생각인데

 

날은 빠르다.

봄은 간다.

 

깊은 생각은 아득이는데

저 바람에 새가 슬피 운다

 

검은 내 떠돈다.

종소리 빗긴다

 

말도 없는 밤의 설움

소리 없는 봄의 가슴

 

꽃은 떨어진다.

님은 탄식한다.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낭만시, 순수시

시대 : 1920년대

성격 : 상징적, 감상적, 독백적, 낭만적

심상 : 공감각적 심상

어조 : 애상적 어조

운율 : 각운

표현상의 특징

1) 우리말의 구조를 잘 살려 쓰면서, 정형성이 주는 미감을 독특한 각도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현대 시사(詩史)높이 평가되고 있다.

- 두운 : 양성 의 불규칙적 배치

- 각운 : -, -, -/: 각 연 마지막

- 각 연 2행 대구를 취함

- 정형적인 리듬에서 벗어나 자유시의 형태를 지녔음

2) 이 시는 감정이입의 수법을 통하여 봄의 애상적인 정조를 표현.

감정이입 : 시적 자아의 슬픔을 새에게 투영, 당시의 암담한 시대 상황의 인식에서 오는 비애와 절망감을 간결한 어조로 절박하게 표현하고 있다.

구성 : 가는 봄의 아쉬움과 상실감(13)

- 1: 전체 분위기(배경) 제시.

- 2: 애상감

- 3: 덧없는 세월(무상감)

시대 상황이 주는 절망감(4,5)

침묵할 수밖에 없는 답답함(6)

가버린 봄에 대한 미련과 탄식(7) - 체념

제재 : 봄밤의 슬픈 감정

주제 : 상실한 자가 느끼는 봄밤의 애상적 정서

출전 : <태서문예신보 제9>(1918)

 

 

 

이해와 감상

  근대시는 교훈적, 계몽적, 민족적인 사상을 담은 신체시와는 달리 종래의 한문투의 문장을 벗어나 순수한 우리말을 찾아 쓰고자 노력했으며, 순수한 서정시를 지향하고자 했다. 특히 김억은 애조를 띤 가락에 우리 민족 고유의 민족적 정조를 담은 민요적 서정시를 쓰고자 노력했는데, 이 작품에 보이는 3·4, 4·4의 형식이 이것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이 시는 전체적으로 애조를 띠고 있다. 애조를 띤 가락은 식민지 치하에 있던 청년 안서와 내적 번민이 여성 편향이란 우리 옛시의 전통성과 만나 승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시는 개인적인 절망감과 그것을 야기한 암담한 현실적 분위기가 상징적으로 노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는 한 화자가 등장하여 애상적 정조를 바탕으로 당시의 어두운 시대 상황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신체시가 지녔던 계몽성을 탈피하여 개인적 서정을 노래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시대의 어려운 상황을 의식하고 있는 점, 순수한 우리말의 미감을 잘 살려 쓴 점, 공감각적인 이미지 속에 정서를 함축시킨 점, 2행을 1연으로 묶어 나간 연에 대한 배려와 ‘-, -, -각운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는 점, 정형적 리듬을 벗어난 자유시인 점 등에서 한국 근대 詩史상 특별한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염두에 두고 감상해야 하겠다.

 

  이 시는 최초의 자유시로 평가받는 주요한의 <불놀이>보다도 두 달 앞서 발표된 김억의 첫작품이다. '태서문예신보'에 발표된 시의 일반적 수준은 육당의 신시나 창가의 수준을 크게 넘지 못하나, 이 시는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있다. 개인의 정감의 소리가 나타나고 시적 대상에 대한 시인 의식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기존의 신체시에서 지적되는 계몽성을 탈피하여 개인의 주관적 정서를 상징적 수법을 통해 보여 주는 이 작품은 어느 늦은 봄날 밤에, 떨어지는 꽃을 바라보며 느낀 상실의 슬픔을 여성적 어조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정서적으로는 우리의 전통시에 흐르는 애상과 비애를 바탕으로 한 상실과 체념의 미학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애달픈데'·'생각인데'·'아득이는데'·'슬피 운다'·'탄식한다' 등의 주관적 하강의 감정어'간다'·'떠돈다'·'빗긴다'·'떨어진다' 등의 객관적 하강의 상태어의 결합을 통해 나타나는 어둡고 침울한 분위기는 이 작품이 암울한 시대 상황을 인식한데서 비롯되었음을 알게 해 준다. 시간적 배경으로 설정된 ''은 당시의 현실을 상징하고 있으며, 계절적 배경인 '''오는 봄'이 아닌, '가는 봄'으로서 덧없이 흘러가 버리는 상실의 존재이다. 그러므로 '봄밤'은 모든 것을 상실한 고뇌의 현실을 표상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 상황을 치열하게 인식하지 못한 결과, 적극적 행동의 미학이 표출되지 못하고, 수동적인 자세로 탄식하는 데에 머물고 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시행 배열의 규칙성, 대구법의 남발, 의도적인 각운법, 불필요한 이미지의 반복, 감정의 무절제한 표출 등으로 작품의 전체 구조가 약화되었다는 지적도 있지만, ''에다 시인의 감정을 의탁한 감정 이입의 수법과 '종소리 빗긴다'에 나타난 공감각적 이미지동시대 시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이 작품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문학 > 현대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픔이 기쁨에게 - 정호승  (0) 2021.02.25
은행나무 - 곽재구  (0) 2021.02.25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2) 2021.02.25
어느 지류에 서서 - 신석정  (0) 2021.02.25
국경의 밤 - 김동환  (0) 202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