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가사 문학의 이해와 감상
1. 개요
1) 정의(定義)
고려 말 경기체가가 쇠퇴하고, 시조가 형태를 갖추어 조선 초에 이르면서 그것이 본격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창작되고 있을 무렵을 전후하여 나타난 장르로서, 시조와 더불어 주로 사대부(士大夫) 사회에서 널리 창작되어진 노래를 말한다.
2) 형식(形式)
① 3(4)․4 조의 연속체로, 4음보로 된 운문이다.
② 마지막 행은 대체로 시조의 종장과 일치한다.(시조의 종장처럼 된 가사 형식을 정격(正格) 가사라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變格) 가사라 한다.)
3) 내용(內容)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심정을 읊은 서정적인 것과 임금에 대한 은총, 기행 등 서사적 성격의 특성이 보인다.
2. 발달 과정
1) 발생과 전개
① 가사의 발생에 대해서 조윤제는 성종 때 정극인의 상춘곡을 그 효시로 보았고, 이병기는 고려 말 나옹 화상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서왕가’를 그 효시로 보았다. 여말에는 아직 한글이 창제되지 않아 ‘서왕가’와 같은 장문(長文)의 노래가 구전되다가 기록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있어 왔으나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해 나옹 화상의 ‘심우가’가 발견됨에 따라, 여말에 형성되었다는 것이 입증됨.
② 가사는 전후로 분절되는 특징을 가진 경기체가에서 파생된 형식으로 보인다. 종래의 문학 형태인 시조나 경기체가는 형식상으로 제약이 많아서 자유롭게 생활 감정이나 자연의 미를 표현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이에 중세 이후 팽배해 오던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③ 이렇게 시작된 가사는 부녀자들의 내방 가사와 조선 후기 서사적 성격의 많은 기행 가사 등을 남기며 개화기의 개화 가사에까지 이르게 된다.
2) 발달(發達)
‘상춘곡’은 고향으로 은거하여 자연 속에 묻혀 사는 사대부의 낙천적인 정취를 그리고 있다. 가사 문학은 ‘상춘곡’에 이어 송순의 ‘면앙정가’와 백광홍의 ‘관서별곡’ 등을 거쳐 송강 정철에 와서 결정에 이른다.
<전기 가사의 주요 작품>
① 상춘곡(성종, 정극인)-태인에 은거하면서 상춘(賞春)과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읊음. 가사의 효시
② 면앙정가(중종19, 송순)-면앙정 주위의 산수의 아름다움과 정취를 노래함
③ 관서별곡(명종11, 백광홍)-관서 지방의 아름다운 경치를 읊음
④ 성산별곡(명종15, 정철)-김성원의 풍류와 성산의 풍물을 노래함
⑤ 관동별곡(선조13, 정철)-관동의 산수미(山水美)에 감회를 섞은 기행 가사
⑥ 사미인곡(선조, 정철)-충신(忠臣) 연모(戀慕)의 정을 비유적으로 읊은 연군가
⑦ 속미인곡(선조, 정철)-두 여인의 문답형으로 된 연군가. ‘사미인곡’의 속편
⑧ 규원가(선조, 허난설헌)-홀로 규방을 지키는 여인의 애원(哀怨)을 우아한 필치로 씀. 일명 ‘원부사(怨夫詞)’라고도 함
조선 후기 가사 문학의 이해와 감상
1. 개관
임·병 양란 이후 서민의 자아 각성에 의한 서민 의식과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종래의 관념적, 서정적 가사가 서사적(敍事的)인 것으로 바뀌었다. 그 내용도 음풍 농월식의 강호 한정이나 연군에서 벗어나, 널리 인간 생활을 그렸고, 위국충절(爲國忠節)의 기상을 읊는 등 매우 다양해졌다.
양반 사대부의 가사에 상대적 개념으로서 평민 가사가 출현하였으며, 부녀자들의 내방 가사는 여류 문학의 세계를 열어 놓았다. 방대한 규모로 장형화(長型化)한 산문적 내용의 작품들이 지어졌으며, 영·정 이후 실학 사상의 영향으로 기행 가사, 유배 가사 등이 지어졌다.
2. 특징
① 평민 가사, 내방 가사 등이 지어졌다.
② 전대의 정철의 서정적 가사 문학은 박인로에 의해 서사적이요, 뚜렷한 작가 의식으로 일관한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하였다.
③ 내방 가사는 규중(閨中) 부녀자들의 부덕(婦德) 애환 등 여자들의 심정과 생활을 노래하였다.
④ 기행 가사 유배 가사 등의 장편 가사는 형식상 변화는 없었으나, 내용이 보다 산문적이고 수필적이다.
3. 평민 가사와 내방 가사
평민 가사는 그 내용의 평민성, 평민적인 생활의 사실적 표현 등에서 붙여진 명칭이며, 작품으로는 소위 ‘12가사’를 비롯하여 ‘상사별곡’, ‘백발탄’, ‘우부가’, ‘요부가’ 등이 있는데, 대개 작자 연대 미상이다.
내방 가사는 역시 영조 이후 최근까지 특히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여기에는 ‘계녀가’, ‘사친가’, ‘화전가’, ‘헌수가’, ‘석별가’, ‘망부가’, ‘사향가’ 등 허다한 작품들이 있는데, 대부분 작가 연대 미상이며, 유형성(類型性)을 띠고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조선 후기 가사 문학 주요 작품 일람표>
① 고공가(선조, 허전)-농사로써 나라 일을 비겨 관리들의 파당적 행위와 정치적 무능을 비판
② 선상탄(선조38, 박인로)-왜적을 미워하고 평화를 갈구하는 뜻을 읊은 것.(전쟁 가사)
③ 일동장유가(영조39, 김인겸-일본에 통신사 조엄의 서기로 수행하고 돌아와서 견문한 바를 노래한 것(기행 가사)
④ 연행가(고종3, 홍순학)-사신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와서 견문한 바를 노래한 것(기행 가사)
⑤ 농가월령가(헌종, 정학유)-농가(農家)의 연중 행사와 풍습을 월령체로 노래한 것
⑥ 북천가(철종4, 김진형)-함경도 명천의 귀양 생활
⑦ 고공답주인가(임진왜란 이후, 이원익)-나라 다스리는 도리를 농사에 비유. ‘고공가’의 답가
⑧ 태평사(선조31, 박인로)-태평 세월의 도래 갈구
⑨ 만언사(정조, 안조환)-추자도의 귀양 생활(유배 가사)
⑩ 누항사(선조, 박인로)-안빈낙도(安貧樂道). 이덕형에게 준 노래
⑪ 독락당(광해군11년경, 박인로)-이언적 선생을 추모
<가사(歌辭)의 요점 정리>
1. 고려 말에 완성된 시조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 유학자들의 검소 담백한 정서 표현에 알맞아 크게 발전하였다.
2. 조선 초기에는 회고가, 절의가 등이 지어졌고, 그 뒤로는 도덕가, 한정가, 강호가 등이 지어졌다.
3. 단시조로 짓던 시조를 여러 수를 묶어 한 주제를 나타내는 연시조도 짓게 되었다.
4. 16세기에 들어와 송순, 황진이 등에 의하여 문학성이 심화되었고, 정철도 뛰어나 시조 작품을 창작하였다.
5. 유학자들의 작품이 관념적인 경향으로 흐른 데 대하여, 기녀(妓女)들의 작품은 고독과 한(恨)에 젖은 정서를 정교하고도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6. 조선 후기에서는 평민 가사와 내방 가사(규방 가사)가 활발하게 지어졌다.
7. 영정 시대 이후는 실학(實學)의 영향을 받아, 장편의 기행 가사, 유배 가사, 월령체로 된 가사 등이 지어져 거의 수필화되었다.
8. 내방 가사는 섬세한 부녀자들의 생활 감정과 예의 범절 등이 궁체(宮體)의 국문으로 두루마리에 적혀 전한다.
9. 조선 말기에는 신앙의 고백이나 포교의 성격을 띤 천주교 가사와 동학 가사 등이 새롭게 지어져 종래의 유교 사상을 배경으로 한 것과 다른 작품들이 나타난다.
'문학 > 문학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소설 이론(개념, 명칭, 범위) (0) | 2021.02.15 |
---|---|
시 분석하기 십계명 (0) | 2021.02.15 |
희곡과 시나리오 (0) | 2020.11.09 |
고전시가의 흐름 (1) | 2020.09.24 |
시조(時調)에 대하여 (0) | 2020.09.24 |